
HOME > 학술지 > 논문투고 규정

- (1) 학회지 게재논문의 성격
- 본 지에서는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는 창의적인 이론연구, 논쟁을 정리하는 개관연구, 측정 및 연구방법론 논문, 또는 실증연구를 게재한
- 다. 실증연구의 경우에는 심리학의 여러 하위분야의 학자들에게 공통적인 관심이 될 수 있는 실증연구들로 게재를 한정한다. 아울러 다양
- 한 분과학회에 걸쳐 공통 관심사가 되는 주제(예, 학회가 개최하는 학술심포지움의 주제)를 가지고 특집을 꾸밀 수도 있다. 끝으로 해당호
- 에서 논쟁적인(controversial) 글에 대하여 편집위원회 주관하에 논평을 받고 그에 대한 저자의 반론을 싣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 (2) 논문작성의 언어
- 한글 논문을 원칙으로 하나 영어 논문도 게재 가능하다.
- (3) 논문작성 소프트웨어는 반드시 HWP를 사용한다.
- 논문작성의 상세 양식은 다음 쪽에 있는 “논문작성 양식”에 따라 작성하며 그 외의 세부사항은 2001년 10월에 한국심리학회에서 제정한
- “학술논문 작성 및 출판지침”(시그마프레스 출판)을 따른다.
- (4) 원고의 표지
- 원고의 표지에는 논문제목, 저자, 주소 및 연락처(e-mail)를 표기해야 하며 표지를 제외한 모든 면에는 1부터 연속적 숫자를 부여하여 쪽
- 번호를 붙인다.
- (5) 모든 연구논문은 150단어(600자) 안팎의 본문앞 초록과 참고문헌뒤 초록, 5개 이내의 주요어를 포함해야 한다. 본문앞 초록은 본문과
- 같은 언어를, 참고문헌뒤 초록은 본문과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예로서, 본문이 영어논문이면 참고문헌뒤 초록은 한글로 한다. 영문초록은
- 미국심리학회의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PsycINFO’에 실리므로 미국심리학회(APA) 출판 규정에 맞게(현재 5판) 쓰여야 한다.
- (6) 참고문헌 뒤에 오는 초록에는 제목, 저자명, 소속(소속학교 및 학과명)을 반드시 기재한다 (위치는 초록 및 본문/참고문헌/초록/부록).
- (7) 논문의 길이는 15-20페이지 이내를 권장한다.
- (8) 본문은 신명조체 10호 크기로 하고, 장평 95, 자간 -10, 줄간격 160으로 하여 작성한다. 본 학회지의 한 페이지에는 한글로 약 1,800자,
- 영문으로 약 3,700자(약 500단어)가 들어감을 고려하여 원고를 작성한다.
- (9) 그림이나 표가 있는 경우
- HWP file에서 본문과 함께 바로 열릴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 그림이나 표는 각 페이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한다.
- 그림은 흑백으로 작성하여 명료하게 인쇄될 수 있어야 하며, 흐린 선, 가는 점선, 계조흑 백(예를 들어, 회색), 색채 등은 인쇄상의 문제가
- 있으니 피하기로 한다.
- (10) 논문의 송부
- 파일을 심리학회 홈페이지(www.koreanpsychology.or.kr) “논문투고”로 로그인하여 투고한다.
- (11) 문의사항 접수
- 논문 양식과 관련한 질문이 있을 경우에는 편집위원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E-mail: kjpgeneraledit@gmail.com)

- (1) 기본 사항
- - 제목 및 초록은 1단 편집, 본문은 2단 편집 (단 간격 5.0mm)
- - 단, 심사용 논문에서의 본문은 1단 편집도 무방하나, 게재 확정후에는 반드시 2단으로 제출
- - 편집용지: A4
- - 용지 여백: 위쪽 35mm, 아래쪽 35mm
- - 왼쪽 30mm, 오른쪽 30mm
- - 머리말 12mm, 꼬리말 13mm
- - 용지 방향: 좁게
- - 문단모양: 문단 시작은 두 칸(한 글자)만큼 띄고 시작.
- - 줄간격 160%
- - 마침표 다음: 한 칸 띄도록 (두 칸이 아님)
- - 본문, 참고문헌: 신명조, 10호, 보통모양
- - 국문초록, 영문초록: 신명조, 9호, 보통모양
- - 쪽수 표시
- (2) 세부 형식
- - 한글초록
-
- - 영문초록
-
- (3) ANOVA(Analysis of Variance) 결과에 대한 제시
- 평이한 다원설계(factorial design)까지는 본문에 풀어쓰고 유의한 경우 유의하지 아니한 경우 모두 F, df, p, MSE, 및 효과크기(, , d, f 등)
- 단내/집단간, 위계적 설계 등) 분석의 전문성을 살리는 차원에서 ANOVA표를 제시한다.
- 이 때 MSE를 제외한 SS와 MS는 생략하되 효과크기는 반드시 제시한다. ANOVA표의 예시는 아래와 같다.
- (ANOVA표의 예시)
- -집단간
-
변산원 |
df |
F |
n² |
p |
인지(A) |
2 |
.80 |
.05 |
.52 |
감정(B) |
1 |
5.57* |
.14 |
.03 |
A x B |
2 |
1.64 |
.18 |
.20 |
집단 내 오차(S/AB) |
30 |
(20.05) |
|
|
- -집단내
-
변산원 |
df |
F |
n² |
p |
시점(C) |
4 |
1.52 |
.05 |
.20 |
C x A |
6 |
2.52* |
.22 |
.03 |
C x B |
3 |
3.98* |
.26 |
.01 |
C x A x B |
6 |
0.30 |
.02 |
.70 |
집단 내 오차(S/AB) |
120 |
(1.40) |
|
|
- 주. 괄호안의 수치는 오차제곱평균(MSE)을 나타냄.
- * p<.05, ** p<.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