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3차 Doctoral Colloquium' 개최(19.01)
-
(가칭)심리사법 제정을 위한 회원 공청회' 개최 (19.01)
-
국민의 행복을 위한 심리서비스 활성화 방안' 토론회 개최 (19.04)
-
정신건강증진법령 하에서 심리학의 역할모색' 행사 개최 (19.06)
-
‘심리학, 과학수사와 만나다’ 심포지엄 개최 (02.08)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MOU 체결
-
한국심리학회 16개 저널 통합 홍보 홈페이지(http://kjp-all.org/) 구축 (07.27)
-
국내외 심리학과 교과과정 현황 조사하여 공개(08.03)
-
「더 알고 싶은 심리학」 출판 (08.14)
-
'Creator와의 만남' 개최 (08.18)
-
한국조사협회와 MOU 재체결 (18.09)
-
(사)한국연기예술학회와 MOU 체결 (18.12)
-
한국예술인복지재단과 MOU 체결 (18.12)
-
Doctoral Colloquium 사업 시작
-
박사후과정 해외연수지원사업 시작
-
융복합 연구 지원사업 시작
-
‘한국사회의 내일을 묻는다: 신뢰와 행복의 관계’ 심포지엄 개최 (02.09)
-
경찰청 피해자인권과와 MOU 체결 (06.29)
-
한국조사협회와 MOU 체결 (09.18)
-
플라톤 아카데미와 심리학 아고라 공동기획 (09.29-11.14)
-
한국심리학회 사무국 이전
-
창립 7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05.20)
-
ICP 2024 유치활동
-
PsySSA(남아프리카공화국심리학회)와 MOU 체결 (07.28)
-
재난심리활동단 구성(02.25)
-
한국심리학회 비전 선포(05.20)
-
한국감사협회와 MOU 체결(12.10)
-
분과 한국법정심리학회 학회명을 한국법심리학회로 개칭(08.29)
-
세월호 사고 심리지원 활동
-
마우나리조트 사고 심리지원 활동
-
심리학 콘서트 ‘행복’ 개최(05.24)
-
공군본부와 MOU체결(08.07)
-
「한국측정평가심리학회」 발족(08.29)
-
제 5회 아시아건강심리학회 학술대회 및 총회 주관(08.22-24)
-
NHN㈜과 MOU 체결(01.29)
-
대전광역시.대전마케팅공사와 MOU 체결(04.02)
-
한국관광공사, 서울관광마케팅, coex와 MOU체결(07.25)
-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과 MOU체결
-
교육과학기술부와 MOU 체결(12.26)
-
심리학과 직업세계1 발행(03.15)
-
학술논문작성및출판지침 제2판 발행(08.20)
-
분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학회명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로 개칭(08.24)
-
열린사이버대학교와 MOU체결(07.27)
-
「한국중독심리학회」창립총회 및 발족(11.19)
-
「한국코칭심리학회」창립총회 및 발족(10.15)
-
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 개편(04.08)
-
심리학으로 밥 먹고 살기 발행(08.15)
-
「중국심리학회」와 MOU체결(08.29)
-
한국인의 정신건강지수 개발
-
한국인의 행복지수 개발
-
「한국실험심리학회」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로 개칭(1.5)
-
"연구진실성 심사 운영세칙" 제정(2.25)
-
학지사와 ‘심리척도 핸드북’을 출판 계약체결(3.17)
-
한일협정교류 체결(8.24)
-
Wee 프로젝트 중앙자문단 구성 활동
-
「한국법정심리학회」창립총회(5.23)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온라인 구독 신청시: 연회비 5,000원 추가 할인 인준(10.17)
-
「한국법정심리학회」회칙승인(7.10)
-
「한국심리학회 웹진」매월 발간 (12.1)
-
Wee센터 설립
-
2009학년도 개편 교사자격기준 개발 평가 영역 상세화 연구
(전문상담교사, 심리학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분과학회 나열순서를 가나다순에서 설립 순서로 전환 4차 이사회 인준(4.20)
-
이사회에서「한국법정심리학회」의 결성을 인준, 중독심리 자격증, 인지학습심리
자격증 인준(8.8)-
학회 연회비 통합납부제 시행 및 선납제도 도입
-
경찰청과 합동 워크숍 “현장 속으로! 청소년 곁으로! 소년범 수사시 전문가 참여제”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공청회 참여/지원
-
전문상담교사 자문지원단 구성/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상담교사 자문지원단 결성 및 활동
-
한국학중안연구원과 공동 세미나 “한국학과 심리학의 만남”
-
소방방재청 정책 협의회
-
국방부, 군 사고 예방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방안 세미나
-
법무부, 여성가족부, 국가청소년위원회와 공동주최 국제심포지엄
“성범죄자에 대한 치료사법적 대안모색”-
중독심리위원회 발족
-
대한적십자사와 재난대응 네트워크(DRN) 업무협약 체결
-
사무국 개편
-
학회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을 하나로 통일하고 한국, 영문과 한자를 병기(12.2)
-
학회 창립 60주년 기념식과 특별 심포지엄(주제: 변화하는 심리학의 지평과 교육)
고려 대학교 4.18기념관 강당에서 개최(12.8)-
한국심리학회:일반, 사회문제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후보에서 등재로 승격됨
-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창립 30주년 기념 세미나 총괄 진행
“디지털 시대의 사회과학의 진로”-
과학신동판별위원회(과학기술부) 참가 활동
-
육군 리더십센터와 공동 세미나 “인성검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세미나”
-
학술단체연합회와 공동주체 세미나 “웰빙을 위한 학제적 접근”
-
청소년개발원과 공동 주최 세미나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
대한민국 과학축전 참가 “마음의 과학: 심리학”
-
일본심리학회(JPA)와 교류협력 개시
-
중국 연변심리학회(조선족) 지원 개시
-
경찰청과 “비행 청소년 멘토링” 과제 전국 5개 지역 실시
-
소방방재청 재난심리분과위원회 구성
-
「상담및심리치료학회」를「상담심리학회」로 개칭(1.6)
-
전문상담교사제도 확립 및 현장 배치
-
통일교육원 연수
-
실험및인지심리학회와 생물및생리심리학회를 실험심리학회로 통합(8.21)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자’ 윤리규정‘ 제정
-
‘한국심리학회 : 일반‘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9.15)
-
“한국 심리학회 산하 ○○학회“를 ”한국 ○○학회“로 변경. 분과학회 회칙에는 한국
심리학회의 산하단체임을 명기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넣음.(1.4)-
한국학술진흥재의 연구분야 분류에서 심리학이 복합학으로 분류됨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및성격 학술진흥재단 등재지로 승격됨
-
「한국 학교심리학회」발족(10월)
-
사회문제연구학회에서 사회문제심리학회로 변경됨.(6.9)
-
검사심의용 목록 평정표 완성. 검사개발및 사용지침 번역서 출판(10.15)
-
김재일 소장학자 논문상, 한국심리학회 학술상, 외부기관 학술상 후보의 추천 운영
세칙 (안)(1.6)-
산하학회에서 심리학회를 통하여 기관회원에게 배포 승인됨.(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