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학회개요

설립목적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본 회의 목적은 회원들에게 학술정보 교류와 친목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심리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심리학적 전문지식과 응용기술을 사회에 보급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익에 기여하는 것이다.
01 심리학의 발전방안 기획시행
02 심리학의 홍보전문지식 사회 보급
03 심리학 관련 학술연구정보의 수집배포,
학술대회의 주관
04 심리학의 전문직 개발육성,
심리전문가 활동 지원권익 보호
05 회원의 전문자격 관리
전문가로서의 윤리 확립, 유지향상
06 국내외 관련 학회학술 정보 교환
협력사업 모색
07 기타 본 학회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제반활동

연혁

2000년대
1990년대
1980년대
1970년대
1960 ~ 1940년대

2022

  • 심리사법 국회 발의 상정 및 입법추진
  • 제6차 Doctoral Colloquium 개최(22.08)
  • 심리학 융∙복합 연구 지원 사업 시행
  • 박사 후 과정 해외연수지원 사업 시행

2021

  • 학회 웹사이트 리뉴얼
  • 제5차 Doctoral Colloquium 개최(21.08)
  • 코로나 19 관련 재난 심리 활동
  • 심리학 융∙복합 연구 지원 사업 시행
  • 박사 후 과정 해외연수지원 사업 시행
  • 심리학 학술용어 정비 사업 시행

2020

  • 제4차 Doctoral Colloquium 개최(20.08)
  • 자살예방심리전화상담 전문인력 파견(자살예방 및 위기관리위원회)
  • 박사 후 과정 해외연수지원 사업 시행
  • 심리검사 번안 지침서 보급
  • 코로나19 시대의 심리학 연구발표회 개최(20.12)
  • 미국심리학회와 MOU 영구 갱신

2019

  • 제3차 Doctoral Colloquium' 개최(19.01)
  • (가칭)심리사법 제정을 위한 회원 공청회' 개최 (19.01)
  • 국민의 행복을 위한 심리서비스 활성화 방안' 토론회 개최 (19.04)
  • 정신건강증진법령 하에서 심리학의 역할모색' 행사 개최 (19.06)

2018

  • ‘심리학, 과학수사와 만나다’ 심포지엄 개최 (02.08)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MOU 체결
  • 한국심리학회 16개 저널 통합 홍보 홈페이지(http://kjp-all.org/) 구축 (07.27)
  • 국내외 심리학과 교과과정 현황 조사하여 공개(08.03)
  • 「더 알고 싶은 심리학」 출판 (08.14)
  • 'Creator와의 만남' 개최 (08.18)
  • 한국조사협회와 MOU 재체결 (18.09)
  • (사)한국연기예술학회와 MOU 체결 (18.12)
  • 한국예술인복지재단과 MOU 체결 (18.12)

2017

  • Doctoral Colloquium 사업 시작
  • 박사후과정 해외연수지원사업 시작
  • 융복합 연구 지원사업 시작
  • ‘한국사회의 내일을 묻는다: 신뢰와 행복의 관계’ 심포지엄 개최 (02.09)
  • 경찰청 피해자인권과와 MOU 체결 (06.29)
  • 한국조사협회와 MOU 체결 (09.18)
  • 플라톤 아카데미와 심리학 아고라 공동기획 (09.29-11.14)
  • 한국심리학회 사무국 이전

2016

  • 창립 7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05.20)
  • ICP 2024 유치활동
  • PsySSA(남아프리카공화국심리학회)와 MOU 체결 (07.28)

2015

  • 재난심리활동단 구성(02.25)
  • 한국심리학회 비전 선포(05.20)
  • 한국감사협회와 MOU 체결(12.10)

2014

  • 분과 한국법정심리학회 학회명을 한국법심리학회로 개칭(08.29)
  • 세월호 사고 심리지원 활동
  • 마우나리조트 사고 심리지원 활동
  • 심리학 콘서트 ‘행복’ 개최(05.24)
  • 공군본부와 MOU체결(08.07)
  • 「한국측정평가심리학회」 발족(08.29)

2013

  • 제 5회 아시아건강심리학회 학술대회 및 총회 주관(08.22-24)
  • NHN㈜과 MOU 체결(01.29)
  • 대전광역시.대전마케팅공사와 MOU 체결(04.02)
  • 한국관광공사, 서울관광마케팅, coex와 MOU체결(07.25)
  •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경영원과 MOU체결

2012

  • 교육과학기술부와 MOU 체결(12.26)
  • 심리학과 직업세계1 발행(03.15)
  • 학술논문작성및출판지침 제2판 발행(08.20)
  • 분과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학회명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로 개칭(08.24)

2011

  • 열린사이버대학교와 MOU체결(07.27)
  • 「한국중독심리학회」창립총회 및 발족(11.19)
  • 「한국코칭심리학회」창립총회 및 발족(10.15)

2010

  • 한국심리학회 홈페이지 개편(04.08)
  • 심리학으로 밥 먹고 살기 발행(08.15)
  • 「중국심리학회」와 MOU체결(08.29)
  • 한국인의 정신건강지수 개발
  • 한국인의 행복지수 개발

2009

  • 「한국실험심리학회」를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로 개칭(1.5)
  • "연구진실성 심사 운영세칙" 제정(2.25)
  • 학지사와 ‘심리척도 핸드북’을 출판 계약체결(3.17)
  • 한일협정교류 체결(8.24)
  • Wee 프로젝트 중앙자문단 구성 활동

2008

  • 「한국법정심리학회」창립총회(5.23)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온라인 구독 신청시: 연회비 5,000원 추가 할인 인준(10.17)
  • 「한국법정심리학회」회칙승인(7.10)
  • 「한국심리학회 웹진」매월 발간 (12.1)
  • Wee센터 설립
  • 2009학년도 개편 교사자격기준 개발 평가 영역 상세화 연구
    (전문상담교사, 심리학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분과학회 나열순서를 가나다순에서 설립 순서로 전환 4차 이사회 인준(4.20)
  • 이사회에서「한국법정심리학회」의 결성을 인준, 중독심리 자격증, 인지학습심리자격증 인준(8.8)
  • 학회 연회비 통합납부제 시행 및 선납제도 도입
  • 경찰청과 합동 워크숍 “현장 속으로! 청소년 곁으로! 소년범 수사시 전문가 참여제”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공청회 참여/지원
  • 전문상담교사 자문지원단 구성/지원
  • 교육과학기술부 전문상담교사 자문지원단 결성 및 활동
  • 한국학중안연구원과 공동 세미나 “한국학과 심리학의 만남”
  • 소방방재청 정책 협의회
  • 국방부, 군 사고 예방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방안 세미나
  • 법무부, 여성가족부, 국가청소년위원회와 공동주최 국제심포지엄
    “성범죄자에 대한 치료사법적 대안모색”
  • 중독심리위원회 발족
  • 대한적십자사와 재난대응 네트워크(DRN) 업무협약 체결
  • 사무국 개편

2006

  • 학회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을 하나로 통일하고 한국, 영문과 한자를 병기(12.2)
  • 학회 창립 60주년 기념식과 특별 심포지엄(주제: 변화하는 심리학의 지평과 교육)
    고려 대학교 4.18기념관 강당에서 개최(12.8)
  • 한국심리학회:일반, 사회문제 한국학술진흥재단에 등재후보에서 등재로 승격됨
  •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창립 30주년 기념 세미나 총괄 진행 “디지털 시대의 사회과학의 진로”
  • 과학신동판별위원회(과학기술부) 참가 활동
  • 육군 리더십센터와 공동 세미나 “인성검사의 발전방향에 대한 세미나”
  • 학술단체연합회와 공동주체 세미나 “웰빙을 위한 학제적 접근”
  • 청소년개발원과 공동 주최 세미나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 대한민국 과학축전 참가 “마음의 과학: 심리학”
  • 일본심리학회(JPA)와 교류협력 개시
  • 중국 연변심리학회(조선족) 지원 개시
  • 경찰청과 “비행 청소년 멘토링” 과제 전국 5개 지역 실시

2005

  • 소방방재청 재난심리분과위원회 구성)

2004

  • 「상담및심리치료학회」를「상담심리학회」로 개칭(1.6)
  • 전문상담교사제도 확립 및 현장 배치
  • 통일교육원 연수

2003

  • 실험및인지심리학회와 생물및생리심리학회를 실험심리학회로 통합(8.21)
  •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자’ 윤리규정‘ 제정
  • ‘한국심리학회 : 일반‘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9.15)

2002

  • “한국 심리학회 산하 ○○학회“를 ”한국 ○○학회“로 변경. 분과학회 회칙에는 한국심리학회의 산하단체임을 명기하여야 한다는 조항을 넣음.(1.4)
  • 한국학술진흥재의 연구분야 분류에서 심리학이 복합학으로 분류됨
  •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및성격 학술진흥재단 등재지로 승격됨
  • 「한국 학교심리학회」발족(10월)

2001

  • 사회문제연구학회에서 사회문제심리학회로 변경됨.(6.9)
  • 검사심의용 목록 평정표 완성. 검사개발및 사용지침 번역서 출판(10.15)

2000

  • 김재일 소장학자 논문상, 한국심리학회 학술상, 외부기관 학술상 후보의 추천 운영세칙 (안)(1.6)
  • 산하학회에서 심리학회를 통하여 기관회원에게 배포 승인됨.(1.6)

1999

  • 심리학과 학부 졸업생에 대한 자격증 부여에 대한 공청회(8.21)
  • 학술진흥재단 학문 재분류 요청의 건 - [사회과학영역]에서 [복합영역]으로 분류 확정함
  • 「소비자 광고 심리학회」가 심리학회 산하의 11번째 분과학회로 창립 총회개최

1996

  • 학회가 사단법인 한국심리학회로 등록됨(5.28)
  • 한국심리학회 50년사 발간(10,25)
  • 학회의 명칭을「한국심리학회 : 사회」에서「한국심리학회:사회 및 성격」으로 변경
  • 「여성심리학회」발족(10.26)

1994

  • 이사회에서「건강심리학회」의 결성을 인준(1.4)

1991

  • 「사회문제 연구학회」창립총회(9.30)

1989

  • 「생물·생리심리학회」가 분과학회로 창립됨
  • 학회지가 8종이 됨 학회지 편찬 요령을 결정함
  • 한국 통신 학회지 대상학회로 선정되고 김태련 교수의 연구과제가 채택됨
  • 한국심리학회 저서 및 논문 목록 제1집」발간 배포됨
  • 회원의 회비 조정을 함

1988

  • 과학 기술 단체 총 연합회」에 가입

1987

  • 분과회의 명칭을 바꾸어 "한국심리학회 산하 OO학회"라고 부르기로 함
  • 「상담심리 및 심리치료학회」 발족

1986

  • 한국심리학회에서「임상 및 상담심리분과회」의 분리안 인준

1985

  • 학회장의 임기를 2년으로부터 1년으로 단축

1983

  • 정신보건법 제정을 학회차원에서 건의
  • 심리학이 고교 자율 선택과목의 하나로 채택되는 교육과정이 신년도부터 시행

1982

  • 「실험심리분과회」와「인지심리분과회」를「실험 및 인지심리분과회」로 통합 (2.11)
  • 심리학회 조직 개편
  • 임석재, 윤태림, 고순덕에게 감사장 수여
  • 심리학과 학생대표와 학회간부들과의 대화(10.22)
  • 한국심리학회 요람 제 1판 발행(10.22)

1981

  • 한국 심리학회 상징도안 채택

1979

  • 이사회에서「인지심리분과회」설립을 승인(10.26)

1977

  • 임원회에서「실험심리분과회」의 설립을 승인(3.17)

1976

  • 한국사회과학연구 협의회에 가입

1975

  • 「사회심리분과회」창립(8.26)
  • 「발달심리분과회」창립(9.26)

1974

  • 한국심리학회 조직을 대폭 개정 통과시킴(10.26)
  • 학회 주최 최초 신년 하례식을 개최, <이후 매년 연초 개최>(1.2)
  • 「임상 및 상담심리분과회」로 개명함

1973

  • 임상 및 상담심리 전문가 자격시험을 실시하여 13명에게 최초로 자격증 수여(6월)
  • IUPS에 정식으로 가입

1972

  • 일본에서 열린 제 20회 IUPS에 다수 회원 참가(7월)

1968

  • 한국 심리학회지 1권 발간 판매 (년 2호 발간을 목표로 추진)

1965

  • 국방부 선병 위원회의 요청에 응해 11명의 심리학 전공자를 추천(11.10)

1964

  • 위원회에서 분과회 설치를 위한 학회 운영세칙을 제정(9월)
  • 학회의 월보를 간행하기로 결정하고 제 1호를 발간함(9월)
  • 위원회에 총무부와 연구부를 두기로 회칙개정
  • 「임상심리분과」를 산하에 발족시킴(11.21)
  • 「산업심리분과」를 산하에 발족시킴(11.25)

1963

  • “한국심리학회 재 발족과 등록”을 위한 회원 총회 소집(5.25)
  • 학회의 재등록을 미치고 정식으로 재 발족 함(7.10)
  • 임시총회에서 10개조로 된 회칙을 통과시킴(9.10)

1961

  • 5. 16 군사정변으로 모든 단체의 해산과 더불어 심리학회도 해산됨

1957

  • 구두 발표 및 특별강연: 강사 정범모(5.26)

1953

  • 학회명을「한국 심리학회」로 개칭하고 규칙적으로 월례모임을 갖기 시작함(3.30)

1948

  • 학회명을 「대한 심리학회」로 개칭(11.27)

1946

  • 「조선 심리학회」결성(2.4)
    • [창립회원]
    • - 임석재(양정중학교 교사)
    • - 이재완(미국대학교 석사)
    • - 이진숙(경성대학교 교수)
    • - 이본녕(경성대학교 교수)
    • - 고순덕(경성대학교 교수)
    • - 방현모(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 성백선(중동중학교 교사)